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인간의 지능을 훌쩍 뛰어넘기 시작했다. 바둑의 신으로 불렸던 이세돌 9단을 완파한 구글 딥마인드 '알파고 리(AlphaGo Lee)'를 새롭게 업데이트된 인공지능 ‘알파고 제로(AlphaGo Zero)’에 100전 100패를 당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알파고 제로에는 이전 알파고와 달리 인간의 기보(碁譜)를 전혀 학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간들이 두었던 명국(名局)이 인공지능에는 오히려 방해밖에 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인공지능이...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고 흉내 내면서 문명을 발달시켰다. 새가 하늘을 나는 모습을 보고 새와 비슷한 날틀을 만들었다.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면 하늘을 날 수 있다는 비행 원리를 밝혀낸 후론 도저히 해결할 수 없었던 항공수송 문명을 만들어냈다. 물고기처럼 바다를 떠다니는 상상을 거듭하다가 물 위에 뜰 수 있는 배를 만들었고 해상교통을 일으켰다. 육상에선 어떤가?...
구글 글라스의 생체인터넷(IoB)으로 스마트홈과 스마트카 등 사물인터넷(IoT)에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 소개우선 스마트홈을 중심으로 냉장고, 복사기, 차고(Garage) 등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구축 관련 특허부터 소개한다. 구글은 2013년 3월에 '글라스로 외부 냉장고나 복사기 등의 디바이스를 위한 부가 제어 및 지시(Wearable Computer with Superimposed Controls and Instructions for External Device(20130069985, 21 Mar...
마이크로소프트가 혼합현실(MR)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기기 홀로렌즈(HoloLens)를 미 육군용으로 10만대 이상 납품하기로 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29일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미 육군은 '적을 재빨리 감지하고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입찰을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번 입찰은 마이크로소프트뿐만 아니라 미국 증강현실 스타트업 매직 리프(Magic Leap) 등이 참여했다....
신체부착형 IoB기기/패치/파스 피부에 붙여 스스로 진단하고 처방도 하는 전자 파스/패치 -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이면 파킨슨병 등 운동장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징후를 분석·진단해 치료까지 하는 신체부착형 나노소자의 전자 파스(패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의 김대형(이번 논문 교신 저자)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나노물질을 이용해 운동장애 질환을 진단하고 약물 투여 등 치료까지...
최근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디자인의 자유도 때문일 것이다. 플렉서블이 구현되면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어떤 기기든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총 3단계에 걸쳐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 커브드(Curved), ▶ 깨지지 않고(Unbreakable) 구부릴 수 있으며(Bendable) 접을 수 있는(Foldable) 디스플레이다. 하지만 이런 기술만으로 완벽한 플렉서블은 구현하기 힘들다....
한류라는 표현이 처음 등장한 건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국내 아이돌 그룹들이 중국 등지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서 한류라는 표현이 처음 등장하였고, ‘겨울연가’, ‘대장금’ 등 국내 드라마가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끈 이후 한국 음악과 드라마의 수출이 활발해졌다.특히 2003년 국내에서 방영된 대장금은 이후 10년 동안 90여개국에 수출되어 220억원의 직접수익과 1,100억원으로 추산되는...
핀테크(FinTech)라는 용어의 시작은  단순한 금융 기술이 아니라 금융기관 위주의 서비스에서 고객 중심의 서비스가 가능해서 나왔다. 저금리 시대에 금융기관이 서비스로는 투자 수익을 볼 수 없는 개인 고객들에게 핀테크 기업들은 안정된 투자처를 만들어 주고 있다.금융(Financial) + 기술(Technology) = 핀테크 (FinTech)인터넷전문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인가가 되지만 인터넷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비대면 은행업무만을 취급한다. 비대면의...
IT News는 71돌 광복절을 맞아 인공지능, 빅데이터, 미래전략, 핀테크, 4차산업 등 대한민국의 정보통신과 과학기술 전체를 위기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본질을 찾아 각 분야 전문가를 만나 문제를 발견하고 해법을 제시하고 한다. 최근 한국 정부와 과학기술계를 둘러싼 비판적 여론이 거세다. 한국 과학기술의 문제와 대안에 대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홍성주 박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편집자> 1....
프리젠테이션에서 청중과 교감을 하는 방법은 아이 컨택트와 제스처만은 아니죠.질문을 하기도 하고 상대방의 이야기에 반응을 하기도 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이끌어나가야 합니다. 발표가 일방적이기만 해서는 청중은 결코 이야기에 몰입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죠.그렇다면 먼저, 발표에 몰입을 할 수 있는 환경에서부터 발표를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청중을 몰입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지금부터...
지난 시간에는 제스처를 완벽하게 만드는 3가지 단어 중, 2가지를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지난 칼럼 다시 보기) 이번 시간에는 나머지 단어인 Poin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우리가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면서 누군가를 가리키거나, 무언가를 가리키게 될 때 활용하게 되는 모든 손동작을 통칭하는 의미입니다. 1. Point – 사람에겐 손바닥을, 사물에겐 손가락을 우리는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면서 어딘가를...
그동안 3회에 걸쳐 비즈니스 SW 사업 모델별 사업 요소 간 인과관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지난 칼럼과 관련된 비즈니스 SW 패키지의 구조 기술과 SW 제공 기술의 진화 모델에 대해, 2회에 걸쳐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 그림은 비즈니스 SW 솔루션 패키지의 기술 구조에 대한 진화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발전 계층별로 살펴보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