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Apple)은 지난 15일 리서치킷(ResearchKit)을 통해 앞으로 자폐증과 뇌전증, 흑색종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리서치킷은 의사, 과학자 및 연구자들이 아이폰 앱을 사용하는 연구 참가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아이폰을 의료 연구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리서치킷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연구에 대한 동의 절차를 거쳐, 활동 과제를 수행하거나 설문 응답을 제출할 수 있을 뿐만...
구글이 2014년에 인수한 자회사 네스트(Nest)가 구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반 실내용 보안 카메라, ‘네스트 캠 아이큐(Nest Cam IQ)’를 출시했다.네스트 캠 아이큐는 기존 보안 카메라와 달리 구글 포토와 동일한 안면인식 기술을 사용해 사용자가 누구인지 구별한다. 즉, 실제 주거하는 사람인지 낯선 사람인지를 구분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구글은 지난해 처음으로 컴퓨터 비전 기술로 카메라가 사물의...
코로나19 감염 확대로 인해 온라인 회의 도구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그중 줌(ZOOM)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앱 중 하나다. 그런데 줌 iOS 앱 버전에서 사용자가 페이스북 계정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 정보를 페이스북에 전송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줌은 다른 앱과 마찬가지로 페이스북 소프트웨어 개발자 키트(SDK)를 사용해 서비스를 구현한다. 페이스북은...
구글이 모듈러 스마트폰 ‘프로젝트 아라(Project Ara)’의 개발을 중단 소식이 지난 3일(현지시간) 로이터(Reuter)와 미국 IT전문 미디어를 통해 전세계에 알려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다소 허탈하다는 평이 많았다. 개발 중단 소식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아왔다는 방증이다.로이터는 “구글이 자사 하드웨어 프로젝트들을 감소하려는 계획의 일부”라고 두 명의 취재 소스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또한 “구글은...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1efsA8PQmDA] 빛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대가 머지않았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구상공 260 마일(364 km)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레이저로 지상에 동영상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지난 6일 발표했다.NASA는 ISS에 실린 '레이저 통신 과학을 위한 광학 탑재물(OPALS, Optical Payload for Lasercomm Science)’이 약 20MB 크기의 동영상을 캘리포니아 테이블산 관측소(Table Mountain Observatory)로 3.5초 만에...
DIY 웹 사이트 구축 서비스 윅스(WIX, Wix.com)가 웹 사이트 제작 프로세스를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웹 디자인 서비스 ‘ADI(artificial design intelligence)’를 시작한다고 밝혔다.사용자는 기본적인 정보인 회사 및 개인 취향을 제공하면 윅스 ADI가 관련 카테고리, 사진, 레이아웃, 테마, 색상 등을 자동으로 가져온다. 특히 윅스 ADI는 레이아웃, 섹션, 페이지 등을 같은 것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지난 8월 캐나다 몬트리올대학에 인공지능(AI) 랩(Lab)을 설립했다. 이 랩에서는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 한국에서 파견된 연구원들이 딥러닝과 인공지능 분야 권위자인 몬트리올대학 요슈아 벤지오(Yoshua Bengio) 교수를 포함한 현지 교수진, 학생들과 함께 음성/영상 인식, 통역, 자율주행, 로봇 등 인공지능 핵심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삼성은 2020년까지 모든 가전 제품에서 AI기능을 탑재하며 2018년에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알파고로 유명한 구글 자회사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안과 질환의 초기 징후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이라고 5일(현지시각) 밝혔다. 해당 프로젝트는 영국의 국가건강서비스(NHS, National Health Service: 영국의 건강보험)와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안과 의사가 놓치기 쉬운 질환의 초기 징후를 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백만 명 이상의 눈을...
미국 IBM 리서치(Research)를 주축으로 코넬대(Cornell Univ) 연구원들이 '브레인 칩(The Brain Chip)'을 개발했다.뉴런(Neuron)과 시냅스(Synapse) 구조를 모방해(이를 뉴로모픽(Neuromorphic)이라 함) 인간 두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컴퓨터용 프로세서 칩이 개발되었다. 그것도 스탬프 크기의(4cm x 4cm)의 슈퍼컴퓨터 칩이다.IBM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 쓰이는 컴퓨터 칩과 달리 인간의 뇌를 닮은 이 같은 뉴로시냅틱(Neurosynaptic) 방식 컴퓨터 프로세서인 '트루노스(TrueNorth)'를...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비영리단체 오픈AI(OpenAI)가 신경망을 사용해 원하는 장르 가수 스타일로 음악을 생성해주는 인공지능 ‘주크박스(Jukebox)를 4월 30일(현지시각) 블로그를 통해 공개했다.아래 저먼메탈을 대표하는 레이지(RAGE) 스타일 곡은 헤비메탈 특유 템포와 강렬한 비트가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전체 샘플은 7,131곡으로 ‘Jukebox Sample Explore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크박스 소스 코드는 깃허브(Github)에 공개됐다.오픈 Ai에 따르면,...
구글이 2014년 7월 29일에 ‘자동영상사물인식(Automatic Large Scale Video Object Recognition, 8,792,732, 29 Jul 2014)’이라는 특허를 미국 특허청에 등록했다. 이는 2012년 8월 28일에 등록한 특허를 개량한 것으로, 청구 항을 43개에서 20개로 줄인 것이다.영화나 드라마를 보다가 맘에 드는 옷을 발견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영상에 등장한 소품이 뭔지 알려주는 기술을...
한글학회(회장 권재일)는 1967년부터 만들어온 ‘깁고 더한 쉬운말 사전’을 전자사전으로 다시 편찬해 오는 10월 9일, 570돌을 맞는 한글날을 기념해 공개 한다고 밝혔다.이번에 공개하는 ‘쉬운말 전자사전(www.hanmal.kr)’은 한글 학회는 1967년 ‘쉬운말 사전’을 처음 펴낸 뒤, 1984년 ‘고치고 더한 쉬운말 사전’에 이어, 1999년 ‘깁고 더한 쉬운말 사전’을 이번 570돌 한글날을 맞아 이를 누리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