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KP_q5dka0kY?list=PLIV5I_0-9uDrqBuBPVgcaaQTg-cyB_HCo] 2015년 7월, 일본 나가사키(Nagasaki)의 헨나 호텔(Hotel Henn Na)에 첫 손님이 도착하면, 로봇 접객원이 이 손님을 맞이하고 안내할 예정이다. 도시바(Toshiba)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인 아이코(Aiko)는 최근에 도쿄(Tokyo)에 있는 한 백화점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손님들은 길을 안내받기 위하여 아이코 로봇에 편안하게 접근했고, 심지어 실제 백화점 안내원은 아이코 로봇이 원만하게 역할을 수행했다고...
 물속 온도 차이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중 드론이 개발됐다.미국 스타트업 시트렉(Seatrec)이 개발한 수중 에너지 수집 모듈은 물속에서 모니터링, 채광, 군사용 드론을 위한 것으로 수온 차이를 이용해 재충전한다.시트렉의 ‘SL1 에너지 수확 모듈(SL1 Thermal Energy Harvesting System)’은 특정 물질이 가열될 때 고체에서 액체로, 액체에서 기체로 전환되는 방식을 활용해 작동한다. 이 기술은 전기를 생산하기...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교육 중 구글의 설문 기능을 사용하여 수업 중 실시간 퀴즈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골든벨”과 같은 개념으로 수업을 진행 중에 구두로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대답을 하면 이를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요즘 대학생들은 거의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fJRUIUe2f88?feature=player_detailpage]스마트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스마트 교육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정의가 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e-Learning, u-Learning, m-Learning, smart-Learning 이라는 말의 잔치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본질을 꿰뚤어 볼 수 있는 날카로움이 필요한 때 입니다. 음악에 빗대어 설명해 보았습니다.We call it e-Learning, u-Learning, m-Learning, and samrt-Learning. Are they all different? I don't...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M8YjvHYbZ9w]군사용 로봇 중에는 2014년에 구글에 인수된 미국의 보스턴 다이나믹스(Boston Dynamics) 가 있다. 보스턴 다이나믹스가 2015년 2월 9일에 공개한 네 발 달린(a four-legged robot) 빅독(Big Dog)이다. 지금은 스팟(Spot)이라 부른다. 땅이 울퉁불퉁해도 넘어지지 않고 얼음판 위를 자연스럽게 걷는다. 또 적군이 발로 힘껏 차도 네 발을 이리저리 움직여 균형을 되찾고 중심을 잡는다. 뿐만...
 보스턴 다이내믹스 사족보행 로봇 ‘스팟’이 자동차 회사 포드 미국 미시간주 반다이크 공장에 투입됐다. 포드 자동차는 스팟이 생산 공장에서 컴퓨터 보조 설계 및 계측 업무를 맡는다고 26일(현지시각) 밝혔다.스팟 로봇 2대가 투입돼 반다이크 트랜스미션 공장이 기존 설계대로 공장이 지어졌는지 스캔한다. 그런 다음 상세지도를 만들어 향후 공장을 현대화 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스팟에...
페이스북이 증강현실(AR)과 입체 음향을 결합해 현실과 구별되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성능의 음향 시스템을 개발했다. 페이스북 AR/VR(증강/가상현실) 연구팀(Facebook Reality Labs Research)이 ‘지각 초능력(Perceptual superpowers)’이라고 부르는 증강현실 음향시스템을 3일(현지시각)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AR과 입체 음향을 결합한 것으로 시각적으로 비유하면 안경에 홀로그램을 결합한 것과 같은 음향 시스템이다.FRL 리서치는 “붐비는 레스토랑이나 술집에서 큰소리를 내지 않아도...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4A5bFfsaVE8]2013년부터 공사가 시작된 애플의 신사옥 애플 캠퍼스 2(Apple Campus 2)가 2016년 하반기에 완공할 것으로 보인다. 총 1만 2000명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는 캠퍼스 2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시에 위치하며, 건물이 거대한 원형 우주선 모양으로 내, 외부 모두 곡면 유리로 건축될 예정이라고 한다.이 영상은 최근 드론 조종사 던칸 신필드(Duncan Sinfield)가 촬영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1단 로켓 첫 종합연소시험이 28일 오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했다. 30초 동안 가동된 종합연소시험으로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우주로 쏘아 올리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1단 로켓 종합연소시험은 75톤 엔진 4기를 결합한 후, 엔진을 점화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1차 종합연소시험 성공으로 대형 추진제 탱크의 경량화, 3단형...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tR4j7OwY8jY]몸의 열을 전기로 바꿔 그 에너지로 불을 밝히는 LED 손전등이 개발됐다.최근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인 ‘킥스타터’에 건전지가 없어도 작동되는 작은 손전등 ‘루멘(Lumen, 라틴어로 빛)’은 미국 뉴욕에 거주하고 있는 러시아 출신 로스 저러프스키(Ross Zhuravskiy)가 개발했다.성인 손가락 길이의 루멘은 무게는 35g, 광도는 3000mcd(밀리칸델라)로 촛불 약 21개 정도의 밝기로 소재는 알루미늄과 티타늄으로...
 최근 들어 3D 프린터를 사용해 인간의 장기를 생성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심장에 이어 간 까지 만드는 데 성공하고 있다. 앞으로 장기이식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기대된다.지난 4월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TAU) 연구팀은 환자 자신의 세포와 생체 재료를 이용해 심장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이는 세계 최초로 인간의 세포 조직과 3D...
 소프트로봇은 유연한 재료로 작동하는 기계다. 따라서 자극에 반응하는 소프트 액추에이터(Actuator) 개발은 마이크로 로보틱스 개척을 추진하는 주요 원동력이다. 지금까지는 많은 진보가 이루어졌지만 복잡한 3D 소프트 로봇을 만드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다.그런 가운데 대만 국립타이베이공과대학(National Taipei University of Technology) 전기광학공학과 유치에 청(Yu Chieh Cheng) 교수 연구팀이 핀란드 탐페레대(Tampere University) 연구팀과 공동으로...